요즘 은행 예금 금리가 낮아지면서 조금 더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은 없는지 찾아보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우리가 예금이나 적금 상품을 가입할 수 있는 은행 중 농협, 신협, 새마을금고 등에서 조합원에 가입하면 금리 우대만큼 좋은 혜택인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농협, 신협, 새마을금고 조합원 혜택에 대해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이 글을 통해 나에게 조금 더 유리한 금융 상품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농협 조합원 혜택 : 이자와 세금을 아낄 수 있는 방법
농협은 중앙 농협 은행과 농,축협 은행으로 나뉩니다. 두 곳에서 제공하는 예금 상품은 약간 다른 금리가 적용되고 일반적으로는 농,축협의 금리가 조금 더 높아요.저는 농,축협의 특판 상품을 자주 이용하는 편이고 농협 조합원에 가입해서 예금 이자에 대한 세금 혜택도 받아보고 있습니다.
이자 소득에 대한 이해
우리가 예금 상품이나 적금에 가입한 후 만기가 되면 원금과 이자를 함께 받습니다. 이때 발생하는 이자에는 모두 소득세를 내야합니다. 이자에 대한 세금은 일반 과세율은 15.4% 이지만 조합원으로 가입하는 경우 1.4% 세금만 내면 됩니다.
- 이자 소득세 15.4%
- 농특세 1.4%
예를 들어서 쉽게 설명해볼게요. 만약 1000만원 짜리 3% 금리 예금에 1년 가입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그러면 발생하는 이자는 300,000원 입니다. 하지만 여기에서 이자과세 15.4%에 해당하는 46,200원을 제외하고 10,253,800원이 우리의 통장에 실제로 들어오는 금액인 세후 수령액입니다.
하지만 동일한 상품에 조합원으로 가입하는 경우에는 1.4% 만 세금을 내면 되니까 4200원을 제외한 10,295,800원을 받을 수 잇습니다.
하지만 동일한 상품에 조합원으로 가입하는 경우에는 1.4% 만 세금을 내면 되니까 4200원을 제외한 10,295,800원을 받을 수 잇습니다.
- 일반 이자과세 : 46,200원
- 조합원 가입시 이자과세 : 4200원
조합원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은 3000만원 이기 때문에 최대로 가입한다면 더 큰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금리 0.1% 더 높은 상품 찾아다니는 것보다도 더 좋은 혜택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농협 조합원 가입 방법
방법은 간단합니다. 근처의 가까운 농협 지점에 방문하면 쉽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 이때 가입 조건은 거주지에 따라서 조건이 다를 수 있으니 방문 전 문의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저는 서울 거주지 근처 지점에 방문했는데 1000원의 가입비와 주민등록등본을 제출하고 바로 조합원으로 가입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서울 거주지 근처 지점에 방문했는데 1000원의 가입비와 주민등록등본을 제출하고 바로 조합원으로 가입할 수 있었습니다.
농협과 같이 신협이나 새마을금고에서도 조합원 가입이 가능합니다.
새마을금고 조합원 가입 방법
조합원 가입은 본인의 거주지 근처나 직장 주변 지역에서 가능합니다. 가까운 지점에 방문하셔서 신분증과 주민등록등본(혹은 재직증명서) 를 지참하고 조합원 가입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이때 농협처럼 출자금이 필요합니다. 농협이나 새마을금고 모두 가입하는 지점에 따라서 출자금 금액에 차이가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이후 몇 가지 신청 서류를 작성한 후 조합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협조합원 혜택
신협 조합원 가입 방법은 위 방법과 유사합니다. 근처 지점에 방문하여 가입할 수 있는데 일부 지점은 비대면으로도 가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비대면 가입은 신협 어플을 통해 신청하실 수 있어요.
신협 on뱅크 어플 : 조합원 가입
은행에 방문하기 어려운 분들이라면 어플에서도 가입이 가능하다는 점이 신협의 장점인 것 같습니다. 지점마다 어플로 가입이 가능한 곳이 있고 불가능한 곳도 있을 수 있으니 지점을 선택 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비대면으로 가입하는 경우에는 신협on 어플에서 로그인 후 화면 상단의 조합원 버튼을 눌러줍니다. 화면 하단에 조합원 가입 버튼을 눌러주세요. 화면 안내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출자금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조합원 가입은 본인의 거주지 근처나 직장 주변 지역에서 가능합니다. 가까운 지점에 방문하셔서 신분증과 주민등록등본(혹은 재직증명서) 를 지참하고 조합원 가입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이때 농협처럼 출자금이 필요합니다. 농협이나 새마을금고 모두 가입하는 지점에 따라서 출자금 금액에 차이가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이후 몇 가지 신청 서류를 작성한 후 조합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협조합원 혜택
- 예금 및 대출 금리 우대
- 배당금 혜택 (예치 금액이 클수록 더 많은 배당금 수령)
신협 조합원 가입 방법은 위 방법과 유사합니다. 근처 지점에 방문하여 가입할 수 있는데 일부 지점은 비대면으로도 가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비대면 가입은 신협 어플을 통해 신청하실 수 있어요.
신협 on뱅크 어플 : 조합원 가입
은행에 방문하기 어려운 분들이라면 어플에서도 가입이 가능하다는 점이 신협의 장점인 것 같습니다. 지점마다 어플로 가입이 가능한 곳이 있고 불가능한 곳도 있을 수 있으니 지점을 선택 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비대면으로 가입하는 경우에는 신협on 어플에서 로그인 후 화면 상단의 조합원 버튼을 눌러줍니다. 화면 하단에 조합원 가입 버튼을 눌러주세요. 화면 안내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출자금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조합원 가입시 유의사항
여러 은행에 조합원으로 가입한다고 해도 세금 우대 혜택은 총 3천만원이 최대입니다. 예를 들어 농협 조합원, 신협 조합원에 가입한다고 해서 3000만원 + 3000만원 으로 혜택이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상호협동조합에서 1인당 3천만원 한도 통합 최대 3000만원에만 혜택이 적용된다는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위 글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조합원에 가입하면 금리 우대 및 세금 혜택을 동시에 받을 수 있으니 아직 한번도 조합원에 가입해보지 않은 분들이나 가입할 계획이 있는 분들은 위 내용들을 참고하셔서 근처 가까운 지점에서 가입해보시기 바랍니다.
생각보다 가입 절차도 간단하고 0.1~0.3% 정도 차이의 높은 금리를 찾아다니는 것보다 더 효율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금리가 다시 낮아지고 있는데 이런 내용들을 참고하셔서 더 유리한 상품들을 선택하시고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해보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매일 이자가 들어오는 파킹통장